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 인터넷 납부 방법

by Robbin10 2020. 4. 19.

 

 


 

주차위반 과태료

운전을 할 때는 누구나 신호도 준수하고 올바른 곳에 주차할려고 하지만 의도치 않게 실수할 때가 있습니다. 요즘에는 주차위반으로 신고가 잦기 때문에 과거에 비해 주차위반으로 과태료 납부하는 경우가 많아졌는데요. 

 

그래도 세상이 좋아져서 주정차위반 조회를 해볼 수가 있게 되었습니다. 어떻게하면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를 하는지 알려드리고 과태료 납부방법, 납부 금액, 주차위반 과태료 인상(가산금) 부분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저는 서울에 살기 때문에 서울시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를 하지만, 지역에 상관없이 주정차위반 조회하는 방법은 어느지역이던간에 비슷합니다.

 

 

 


일반적으로 과태료 조회하는 방법은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그 4가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1. 관공서에 전화해서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하는 방법
2. 지차체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과태료 조회하는 방법
3. 위텍스에 접속해서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하는 방법
4. 이파인(경찰청교통민원)에 접속해서 과태료 조회하는 방법


 




위에서 알려드린 방법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차근차근 알려드리겠습니다. 

 

 

지자체 혹은 관공서에 확인해보기


포털사이트 사는 지역 혹은 주정차 위반이 의심되는 지역을 검색해보면 해당관리과가 나옵니다. 예를 들어 서울 동작구에서 주정차 위반이 의심되면 '동작구 주차관리과'를 검색하면 홈페이지와 전화번호가 나옵니다.

 

 

 


사이트에 접속하면 주차관리과 담당하는 부서내 연락처가 기재되어있기 때문에 여기에 전화해보시면 담당자가 주차위반을 했는지 확인해줍니다. 

 

 



이파인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기


이파인 사이트는 경찰청 민원24에서 관리하는 교통민원 사이트이기에 바로 과태료 조회를 해볼 수 있습니다. 이용방법은 사이트에 접속해서 공인인증서로 로그인만 하면 신분확인이 되기에 과태료 조회가 가능합니다. 

만약 공인인증서가 없으신 분들은 은행어플로 인증서를 발급 받으시기 바랍니다.

 

 

 


이파인 사이트가 여러모로 유용하지만 모바일 보다는 PC접속이 최적화 되어있기 때문에 컴퓨터로 접속해서 확인하는게 더욱 정확하다고 합니다. 

 

 




 

위택스 활용하기


세번째로 추천하는 방법은 위택스입니다. 위택스는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 뿐만 아니라 각종 세금, 지방세, 자동차세 등 납부할 수 있는 고지서의 대부분을 조회할 수 있기에 정말 유용합니다.

 

 

 


위택스는 사이트 뿐만 아니라 위택스 어플도 운영하고 있어서 한번 다운받아 놓으면 과태료 조회 뿐만 아니라 주차위반 과태료 납부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한번에 일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위택스 말고도 서울시 세금납부 STAX를 이용하셔도 됩니다. 이 서울시 STAX 어플 역시 주정차위반 조회와 함께 바로 한번에 납부까지 가능합니다.

 

 

 


납부 방법으로는 은행납부(계좌이체), 카드 결재, 간편결제(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페이코 등) 모두 가능합니다.

과거에 비해 과태료 조회하고 납부하는 방법이 많이 편리해졌습니다.




미리내면 과태료 금액 인하? 늦게내면 과태료 인상?



주정차위반은 과태료를 내면 2020년 기준으로 승용차는 4만원이고 승합차는 5만원입니다. 다만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적발되면 과태료는 2배수준으로 내게 됩니다(아래 표 참고)

 

 

 


과태료 조회를 미리해서 자진납부하게 되면 20% 인하해서 납부를 하게 됩니다. 즉 40000원 과태료 납부할 것을 32000원에 납부 할 수 있습니다.  

미리 내면 과태료 인하된 금액으로 내게 되지만 늦게 낼 경우 과태료 가산금이 붙습니다. 기본적으로 3% 가산금이 붙는데 가산금이 붙고나서도 납부를 하지 않으면 매월 1.2%가 추가로 금액이 붙습니다.

 

 

 


이렇게 가산금은 최대 60개월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 즉, 4만원인 과태료가 최대 7만원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태료는 미리 내는 것이 이득이며 적어도 제때 납부 기간에 내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