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퇴직금 계산방법 (2020년 퇴직금 지급규정, 지급기한)

by Robbin10 2020. 4. 21.

 

 

 

퇴직금 계산기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고민하는 퇴사.. 저도 고심끝에 최근에 결정해서 퇴사를 했습니다. 퇴사를 하면 회사에서 받게되는 퇴직금과 지급기한이 궁금하죠.

 

퇴직금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아는 방법은 퇴직금 계산기 혹은 퇴직금 정산방법(산정방법)을 통해서 확인하면 됩니다. 이번 포스팅 통해서 퇴직금 지급기한, 퇴직금 지급규정 또한 알려드리겠습니다.

 

 







저는 퇴직금 계산방법으로 퇴직금 계산기를 통해 실제로 어느 정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지를 알아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퇴직금 지급기한 내에 받은 퇴직금 액수와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여기서 또하나 알아야 주목할 점은 법적으로 퇴직금은 퇴직한 날로부터 반드시 14일 이내에 받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것은 퇴직금 지급기한 법으로 정해져있기에 이것을 회사에서 어길시 고용노동부에 신고하면 됩니다. 


 




 

퇴직금이란?


퇴직금의 기본적인 원칙은 한 회사에서 1년 이상 근무를 할 시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제 개인생각이 아닌 법적으로 정해진 정의입니다. 따라서 이전 회사에서는 반드시 줘야하는 것이 퇴직금(퇴직금 지급규정과 지급기한에 근거)입니다. 




퇴직금 지급기한 및 지급규정


퇴직금은 기본적으로 그만두기 전 3개월의 평균임금을 산정해서 퇴직금 실수령액을 산정합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대로 퇴직한 날로부터 반드시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줘야(퇴직금 지급기한) 합니다. 법적으로 정해진 사항입니다.

 

퇴직금은 매월 급여를 받는 직장인을 뿐만아니라 비정규직, 계약직, 임시직, 아르바이트 등이 모두 해당되고 퇴직금 지급기한 역시 모두 똑같습니다.




퇴직금 수령조건




위에서 말한것처럼 퇴직금은 보통 1년 이상 근무하면 발생하는 것이지만, 한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4주간 평균 주 15시간 이상을 반드시 근무해야(퇴직금 지급규정에 근거)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어떤 사람이이 한 회사에 근무를 했는데 주 10시간만 일했으면 아무리 오래 일했다 하더라도 퇴직금을 받지 못한다는 얘기가 됩니다. 


(퇴직금 지급기한, 지급규정 관련 사진)



근로자(고용인)가 퇴사을 원할 경우 회사에 미리 알려주는 것 또한 좋습니다. 그래야 회사와의 관계가 원만하게 끝나서 퇴직금 지급기한내에 퇴직금을 수령할 수 있게 됩니다.  

 


지금 퇴사을 진지하게 고민하신다면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퇴직금 계산기를 통해서 퇴직금 수령액을 확인하시고 다가오는 미래를 잘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댓글